몬스터 헌터 와일즈(Monster Hunter Wilds) PC 버전의 충격적인 성능 문제와 대안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게이머들이 기다려온 카프콤(Capcom)의 최신작 '몬스터 헌터 와일즈(Monster Hunter Wilds)'의 성능 문제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Digital Foundry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특히 PC 버전은 저사양 그래픽 카드에서 심각한 성능 문제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게임의 가치를 크게 훼손시키고 있습니다.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어떤 하드웨어에서 플레이 가능한지, 그리고 현재로서 최선의 대안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PC 버전의 성능 문제 심층 분석
몬스터 헌터 와일즈 PC 버전은 첫 실행 시 긴 쉐이더 컴파일레이션 과정이 필요합니다.
Digital Foundry의 테스트에 따르면 이 과정은 Ryzen 7 9800X3D와 같은 최신 하이엔드 CPU에서도 약 6분, Ryzen 5 3600과 같은 중간급 CPU에서는 13분 이상 소요됩니다.
그래픽 설정 메뉴는 세밀한 옵션과 VRAM 미터기, 미리보기 이미지 등 잘 설계되어 있지만, 실제 게임 플레이에서는 많은 문제가 드러납니다.
특히 눈에 띄는 문제는 텍스처 품질 문제입니다. RTX 4060 8GB에서 기본 설정(높음)으로 게임을 실행할 경우, 많은 장면에서 PS3 수준의 텍스처 품질이 보입니다.
일부 텍스처는 압축 설정 오류로 인해 모자이크 아티팩트가 생기기도 합니다.
또한 카메라를 돌릴 때마다 눈에 띄는 스터터링이 발생합니다.
이는 VRAM이 부족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발생하며, 텍스처 설정을 중간으로 낮추면 어느 정도 해결되지만 텍스처 품질이 크게 저하됩니다.
더불어 일관되지 않은 프레임레이트도 문제입니다.
심지어 단순한 사막 환경에서 캐릭터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도 카메라를 돌리면 프레임 건강도가 떨어집니다.
Digital Foundry는 이를 DirectStorage GPU 압축 해제와 관련된 문제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가장 놀라운 점은 게임의 시각적 품질과 요구되는 성능 사이의 괴리입니다.
건조하고 세부 사항이 거의 없는 사막 환경에서도 이런 성능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은 최적화가 심각하게 부족함을 보여줍니다.
Digital Foundry는 8GB 이하의 VRAM을 가진 그래픽 카드에서는 게임 구매를 권장하지 않습니다.
2. 다양한 하드웨어에서의 실제 경험
커뮤니티 피드백을 살펴보면 하드웨어에 따라 경험이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하이엔드 GPU (RTX 4090, 4080, 7900 XT 등)를 사용하는 유저들 중 일부는 RTX 4090으로도 "게임이 형편없이 실행된다"고 보고하는 반면, 다른 유저들은 4080S로 설정을 최대로 해도 120fps를 얻고 있다고 합니다.
AMD RX 7900 XT 사용자는 1440p에서 고해상도 텍스처 DLC를 활성화한 상태로 Ultra 설정에서 약 70fps를 보고했습니다.
하지만 하이엔드 GPU에서도 고해상도 텍스처팩은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미드레인지 GPU (RTX 4070, 4060 등)를 사용하는 유저들은 대부분 중간 설정과 DLSS 성능 모드를 사용해 50-70fps를 얻고 있습니다.
RTX 4060 사용자는 텍스처 설정을 중간으로 낮추어도 스터터링과 낮은 텍스처 품질 문제가 있다고 보고합니다.
또한 게임이 CPU에 매우 의존적이라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Ryzen 9900X와 4070 조합으로 90fps 이상을 일관되게 얻는 유저도 있으며, 일부 유저는 1440p에서 CPU 사용률이 거의 100%에 도달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커뮤니티에서는 텍스처 품질에 대한 의견도 분분합니다.
첫 지역인 황무지(Fallows)는 주로 모래와 회색 바위로 구성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더 단조롭게 보일 수 있으며, 풍요로운 지역(Plenty)이나 붉은 숲(Scarlet Forest)에 도달하면 게임의 시각적 품질이 더 향상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3. 콘솔 버전의 성능: 더 나은 대안일까?
콘솔 버전이 PC 버전보다 나은 대안인지에 대한 논의도 활발합니다.
PS5 Pro는 현재로서는 가장 안정적인 플랫폼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최상"이라기보다는 "최악이 아닌" 선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게임이 PS5 Pro에서도 60fps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지 못한다는 점은 최적화가 얼마나 부족한지 보여줍니다.
기본 PS5 버전은 FSR 1을 사용하여 이미지 품질이 저하됩니다. FSR 1은 AMD의 초기 업스케일링 기술로, 최신 버전인 FSR 2나 FSR 3보다 훨씬 이미지 품질이 떨어집니다.
그럼에도 많은 유저들이 기본 PS5에서 균형 모드(balanced mode)로 플레이하는 것이 "수용 가능한 경험"이라고 보고합니다.
특히 120Hz TV를 사용하는 경우, 40fps 모드가 30fps보다 훨씬 부드럽게 느껴집니다.
일부 유저들은 Day One 패치가 Digital Foundry의 비디오에서 보여준 것보다 성능을 상당히 개선했다고 보고합니다.
FSR 1 사용에 대한 비판이 특히 강합니다.
2025년에 이런 구식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으며, 블러링과 이미지 품질 저하가 심각합니다.
특히 FSR 2나 3와 같은 더 나은 대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FSR 1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4. RE 엔진과 오픈 월드의 호환성 문제
몬스터 헌터 와일즈의 성능 문제는 카프콤의 RE 엔진(RE Engine)이 오픈 월드 게임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RE 엔진은 원래 레지던트 이블 7(Resident Evil 7)과 같은 1인칭 시점의 좁은 공간 게임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 엔진은 1인칭 시점의 좁은 공간 게임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오픈 월드 환경에서는 심각한 한계를 보입니다.
카프콤의 이전 오픈 월드 게임인 드래곤즈 도그마 2(Dragon's Dogma 2)도 RE 엔진을 사용했으며, 비슷한 성능 문제를 겪었습니다.
이는 RE 엔진이 오픈 월드 게임에 근본적인 적합성 문제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2, 3, 4, 7, 8)와 데빌 메이 크라이 5(Devil May Cry 5)와 같은 카프콤의 다른 게임들은 PC에서 잘 최적화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카프콤이 PC 최적화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RE 엔진의 오픈 월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음을 의미합니다.
일부 의견에 따르면 카프콤은 이미 이 문제를 인식하고 다음 엔진 버전에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5.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와의 비교
많은 게이머들이 최근 출시된 '킹덤 컴 딜리버런스 2(Kingdom Come Deliverance II)'의 최적화와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워호스 스튜디오(Warhorse Studios)는 첫 번째 게임의 최적화 문제를 학습하여 후속작에서는 놀라울 정도로 향상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킹덤 컴 딜리버런스 2는 인구가 많은 도시에서도 안정적인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반면, 몬스터 헌터 와일즈는 단순한 환경에서도 성능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워호스 스튜디오는 카프콤보다 훨씬 작은 팀과 예산으로 더 나은 최적화를 달성했습니다.
특히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의 NPC 시스템은 일상 루틴을 가진 복잡한 AI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 잘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킹덤 컴 딜리버런스 2는 서드파티 엔진인 CryEngine을 사용하는 반면, 몬스터 헌터 와일즈는 카프콤의 자체 엔진인 RE 엔진을 사용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자체 엔진이 더 나은 지원과 최적화를 받아야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일부 유저들은 킹덤 컴 딜리버런스 2의 두 번째 맵(쿠텐베르크)에서도 'Local Hero' 퍼크 관련 버그로 인한 성능 문제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는 렛헤안 포션(Lethean Potion)으로 스킬을 초기화하여 해결할 수 있다고 합니다.
6. 현 시점에서의 권장사항
현재 상황에서 몬스터 헌터 와일즈를 플레이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선택지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PC 유저의 경우, 8GB 이하 VRAM GPU 유저는 패치가 나올 때까지 구매를 미루는 것이 좋습니다.
하이엔드 GPU 유저는 브루트 포스로 어느 정도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지만, 고해상도 텍스처 팩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유저는 DLSS 또는 FSR을 활성화하고, 텍스처 품질은 중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콘솔 유저의 경우, PS5 Pro는 현재로서는 가장 안정적인 경험을 제공합니다.
기본 PS5는 균형 모드(120Hz 디스플레이에서 40fps) 또는 성능 모드로 플레이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몬스터 헌터 시리즈는 일반적으로 장기적인 지원을 받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최적화가 개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몬스터 헌터 월드도 초기에는 성능 문제가 있었지만 패치를 통해 개선되었습니다.
모드 커뮤니티에서도 QoL 개선을 위한 모드를 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몬스터 헌터 와일즈는 게임 자체는 매력적이지만 현재 기술적 문제로 인해 많은 플레이어들의 경험을 해치고 있습니다.
특히 PC 버전은 심각한 최적화 문제로 인해 하드웨어 요구사항 대비 성능이 매우 불만족스럽습니다.
카프콤이 빠른 시일 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길 바라며, 당장 플레이하기보다는 패치와 개선을 기다려 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게임의 초반 지역인 황무지(Fallows)를 넘어 더 다양한 환경을 보면 시각적으로 더 인상적인 모습을 볼 수 있겠지만, 그것이 현재의 기술적 문제를 상쇄할 만큼 가치가 있을지는 개인의 판단에 달려있습니다.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몬스터 헌터 와일즈에서 몬스터 탑승, 어떻게 하는지 알아볼까요? (0) | 2025.03.03 |
---|---|
PlayStation VR2(PS VR2) 가격 인하, 지금 구매할 가치 충분할까? 퀘스트 3와의 현실적인 비교 분석 (0) | 2025.03.02 |
몬스터 헌터 와일즈 모든 몬스터 총정리 - 위치, 약점, 공략법 (0) | 2025.03.02 |
새로운 마인크래프트 영화 트레일러! 숨겨진 이스터 에그 15가지 파헤치기 (0) | 2025.03.02 |
Lies of P 새로운 DLC 'Overture': 프리퀄 이야기와 강화된 전투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