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결혼 축의금, 얼마가 적정할까? 물가 상승에 따른 2024년 기준 총정리

드리프트 2025. 3. 23. 11:11
728x170

결혼 축의금, 얼마가 적정할까? 물가 상승에 따른 2024년 기준 총정리

봄 웨딩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결혼 축의금에 대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해 축의금 금액도 함께 올라가는 추세인데, 과연 얼마를 내는 것이 적당할까요?

 

오늘은 2024년 기준 결혼 축의금 적정 금액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균 축의금 비용 증가 추세

최근 카카오페이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4년 9월 기준 평균 축의금은 9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5].

 

이는 2021년 7만 3천원에 비해 약 23% 증가한 수치입니다.

 

물가 상승과 함께 결혼 비용도 올라가면서 축의금 금액도 자연스럽게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는 평균 6만원, 30 ~ 40대는 10만원, 50 ~ 60대는 12만원 정도로 나타났습니다[5].

 

나이가 들수록 축의금 금액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경제력과 사회적 관계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실제로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발표한 '2024 결혼비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평균 예식비용은 1,390만 원으로 전년 대비 8.76% 증가했다고 합니다[1].

 

이는 축의금 증가의 배경을 잘 설명해주는 통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관계의 친밀도에 따른 축의금 기준

축의금 금액을 정할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바로 '친밀도'입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9%가 친밀도를 축의금 액수 결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습니다[4].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지인 또는 직장 동료: 5만원~10만원
  • 친한 친구: 10만원~20만원
  • 가족 또는 친척: 20만원 이상

단, 이는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일 뿐이며,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관계의 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카카오페이가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8%가 10만 원을 적정 축의금으로 선택했습니다[5].

 

이는 일반적인 지인이나 직장 동료 수준의 관계에서 가장 무난한 금액으로 여겨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참석 여부에 따른 축의금 차이

최근에는 결혼식 참석 여부에 따라 축의금 액수를 다르게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혼정보회사 가연의 설문 조사 결과, 결혼식에 참석할 경우 평균 8만 6천원, 불참할 경우 평균 6만원의 축의금을 낸다고 합니다[14].

 

이는 결혼식 참석 시 발생하는 식사 비용을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서울 지역 예식장의 1인당 식대는 6~7만원 선이며, 호텔 웨딩의 경우 12~20만 원까지 올라갑니다[1].

 

따라서 결혼식에 참석하여 식사를 하는 경우, 최소한 식대를 고려한 금액을 축의금으로 내는 것이 예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고 축의금만 보낼 경우, 5만원 정도가 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참석할 경우에는 10만원 이상이 무난한 수준입니다.

2024년 기준 적정 축의금 가이드

물가 상승과 사회적 인식 변화를 고려할 때, 2024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축의금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지인 또는 직장 동료 (불참 시): 5만원
  • 일반적인 지인 또는 직장 동료 (참석 시): 10만원
  • 친한 친구 또는 가까운 동료: 15만원~20만원
  • 가족 또는 친척: 20만원 이상

단, 호텔 결혼식의 경우 일반 예식장보다 축의금을 조금 더 높게 책정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신랑신부와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16].

축의금 전달 방식의 변화

과거에는 현금을 봉투에 넣어 직접 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에는 모바일 송금이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카카오페이의 축의금 송금봉투 활용률은 최근 5년 새 360% 급증했다고 합니다[5].

 

모바일 송금의 경우,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하더라도 쉽게 축의금을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신권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편리합니다. 다만, 모바일로 전달할 경우에도 축하 메시지를 함께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결혼 축의금은 단순히 금전적인 의미를 넘어 축하와 격려의 마음을 담는 우리 문화의 중요한 일부입니다.

 

따라서 금액의 많고 적음보다는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축의금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해 결혼식 참석을 망설이거나 인간관계에 불편함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신랑신부의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형편에 맞는 축의금을 준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자세일 것입니다.

 

결혼식은 축하받아야 할 특별한 순간입니다.

 

축의금의 금액보다는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마음이 신랑신부의 새 출발에 힘이 되길 바랍니다.

 

 

이 이미지는 결혼식 축의금에 대한 통계 자료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령대별 평균 축의금 금액과 적정 축의금에 대한 설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그리드형